업무를 하다보면 IP 범위를 찾아야 할 때가 종종 있다.
/24의 256개의 IP를 어떻게 쪼개느냐에 따라 IP의 범위가 달라지게 되는데 장비에 따라 IP의 범위를 넣어줘야하는 장비도 있어서 계산이 필요할 때가 있다. (유비쿼스 장비가 그렇다)
게이트웨이 주소를 찾아야하거나 네트워크 주소를 찾아야할 때도 빈번하게 있기 때문에 IP를 다뤄야한다면 IP범위를 쉽게 계산하는 방법을 알면 유용하게 쓸 것이다.
가장 쉬운 방법은 표하나 만들어서 표를 보고 찾는 방법이 있다.
폼은 안나지만 가장 머리를 안쓰고 찾을 수 있다.
100.100.100.123/27 의 네트워크 주소를 찾고 싶으면 표에서 .123이 들어가는 범위인 100.100.100.96/27이 네트워크 주소가 되겠다.
Subnet Mask | Network Address | Broadcast Address | First Host | Last Host |
/24 | 192.168.0.0 | 192.168.0.255 | 192.168.0.1 | 192.168.0.254 |
/25 | 192.168.0.0 | 192.168.0.127 | 192.168.0.1 | 192.168.0.126 |
/25 | 192.168.0.128 | 192.168.0.255 | 192.168.0.129 | 192.168.0.254 |
/26 | 192.168.0.0 | 192.168.0.63 | 192.168.0.1 | 192.168.0.62 |
/26 | 192.168.0.64 | 192.168.0.127 | 192.168.0.65 | 192.168.0.126 |
/26 | 192.168.0.128 | 192.168.0.191 | 192.168.0.129 | 192.168.0.190 |
/26 | 192.168.0.192 | 192.168.0.255 | 192.168.0.193 | 192.168.0.254 |
/27 | 192.168.0.0 | 192.168.0.31 | 192.168.0.1 | 192.168.0.30 |
/27 | 192.168.0.32 | 192.168.0.63 | 192.168.0.33 | 192.168.0.62 |
/27 | 192.168.0.64 | 192.168.0.95 | 192.168.0.65 | 192.168.0.94 |
/27 | 192.168.0.96 | 192.168.0.127 | 192.168.0.97 | 192.168.0.126 |
/27 | 192.168.0.128 | 192.168.0.159 | 192.168.0.129 | 192.168.0.158 |
/27 | 192.168.0.160 | 192.168.0.191 | 192.168.0.161 | 192.168.0.190 |
/27 | 192.168.0.192 | 192.168.0.223 | 192.168.0.193 | 192.168.0.222 |
/27 | 192.168.0.224 | 192.168.0.255 | 192.168.0.225 | 192.168.0.254 |
조금 더 있어보이게 찾는 방법이 있다. 원리상으로는 표를 보는거랑 같은데 좀 전문가처럼 보이는 장점이 있다.
1. 먼저 subnet 마다 만들 수 있는 IP 갯수를 외워준다.
subnet | bits | IP 갯수 |
/30 | 2 | 4 |
/29 | 3 | 8 |
/28 | 4 | 16 |
/27 | 5 | 32 |
/26 | 6 | 64 (/26에서 6이있으니까 64개 이렇게 외움) |
/25 | 7 | 128 |
/24 | 8 | 256 |
2. 100.100.100.100/27 이런 IP가 있다면 /27이 32개 IP니까 100을 32로 나눈다.
당연하지만 표를 보고 네트워크 IP가 몇이다 이렇게 말하는게 훨씬 편하다. 그래도 손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야 좀 간지 (?) 도 나고 서브넷팅 표 없어도 뚝딱 계산을 할 수 있다. chat gpt 한테 물어봐도 잘 계산을 해주긴하는데 그래도 정답을 알고 있어야 뭔가 이상할 때 어 이거 잘못 계산했네 알아챌수도 있고.. 아무튼 나처럼 노베이스로 업무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총총..